2023년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그리고 신청기간
이제 2023년도 얼마남지 않았습니다. 올해마무리는 잘하고 내년을 잘 준비해야겠죠? 그래서 2023년 정부의 새로운 청년정책중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포스팅을 해보려고 가지고 왔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무엇이고, 어떤 혜택이 있으며, 가입조건과 그리고 신청기간은 언제인지, 그리고 2022년 시행한 청년희망저축과는 어떤차이점이 있는지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2023년 청년도약계좌란
정부가 2023년 청년층의 청년대책으로 자산형성 기회를 만들어주기위한 정책금융상품입니다. 해당상품은 청년희망적금과 중복으로 가입할수 없게 되었다고 합니다.
청년도약계좌란 매달 최대 70만원을 5년 저축하면 만기시 5천만원을 받는 적금으로 납입액의 최대 6%의 기여금을 지급하는 구조입니다.
청년도약계좌의 가입조건은 무엇인가요
청년도약계좌의 가입조건은 개인소득 6천만원이하, 그리고 가구소득 중위 180%이하의 기준을 만족해야하며, 지원대상의 연령은 만 19세 부터 34세까지로 군대 2년 복무시 36세까지 지원이 가능하며, 군 복무 인정기간은 최대 6년까지라고 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은 언제인가요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은 2023년 6월부터로 시작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에대해서
청년도약계좌의 만기기간은 5년이며 최초 공약에서 발표한 10년보다 기간은 줄었지만 여론에 맞춰 현실성을 고려한 기간이라고 합니다. 월납입액은 월 40만원에서 70만원까지며 정부가 지원해 주는 기여금은 납입액의 최대 6% 산정됩니다. 발생한 이자소득은 비과세가 적용된다고 합니다.
청년도약계좌에 적용되는 은행이자는 해당 시일에 시중은행 적금 및 가산금리가 적용될 예정입니다.
최대금액으로 계산을 해보면 월 70만원 납입했을때, 정부의 기여금 6% 받게되면 74만 2천원으로 5년만기 적금을 하게 될경우 44,520,000 원이 모이게 됩니다. 그리고 시중은행의 금리까지 적용하면 약 5만원 이상의 금액을 받게 되는 것이죠.
젊은 청년층이 월급으로 생활하면서 적금을 부어 5천만원을 넣는일은 쉽지 않은일이죠.
이렇게 나라에서 청년정책으로 청년들의 자립기회를 위해 기여금을 지원해 주는 정책이 있으니 십분활용해서 목돈을 마련할 기회를 놓치지 않고 잡아야 겠습니다.
아쉬운점은 지원대상연령이 34세로 제한되어있어 중장년층에 대한 지원은 없다는 사실이 안타깝네요.
청년들의 자립을 위해 정부의 정책도 좋지만, 청년에게만 국한되어있는 정책 외에도 중 장년층을 위한 현실적인 대책도 같이 나왔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어느정도 자리를 잡은 나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 중장년층 35~부터 40대는 결혼과 육아가 이루어지는 나이대이다 보니 오히려 더 팍팍한 살림살이가 아닐까 생각듭니다.
'[정보]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리차 효능과 부작용 알고계신가요? 알고먹자 (0) | 2022.12.07 |
---|---|
1회용컵 보증금제도 시행중인지 헷갈리신다면 정리해드립니다 (0) | 2022.12.05 |
카드포인트 통합조회로 계좌입금까지 소멸되기 전에 알아보기 (1) | 2022.12.01 |
세금포인트 사용법 알고계신가요 (0) | 2022.11.30 |
2023년 부모급여란 무엇인가요 소급적용되나요 영아수당과 아동수당은 어떻게되나요 (0) | 2022.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