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식초에 대해 포스팅을 가지고 왔습니다.
식초의 효능과 식초의 다양한 활용법인데요.
식초라 함은 보통 요리에만 사용하지 않으신가요?
식초를 요리만 사용하는건 살림의 초보라 할수 있죠.
식초처럼 팔방미인인 일상생활 효자템이 또 어디있을까싶어요.
아마 어느집이나 식초없는집은 없겠죠.
누구나 가지고 있지만, 그 누구나 그 활용법을 잘 알지 못하는
아이템중 하나가 식초가 아닐까 합니다.
그래서 오늘 식초에 대해 낱낱히 알아보고자 합니다.
식초의 효능과 식초의 활용법.
그 첫번째는 식초의 쓰임새 바로 요리입니다.
이건 너도알고 나도아는 누구나아는 사실이죠.
하지만, 이 식초가 그냥 맛을 내는데 쓰이지 않는다는 사실.
우리의 몸에도 많은 작용을 하고 효능을 가지고 있어요.
요리에 쓰이는 이 식초의 효능에 대해 먼저 알아볼께요.
식초에는 구연산이 있는데 이 구연산은
활발한 에너지 생산에 도움을 주어 피로회복에 효과적이며,
피로와 노화의 원인인 젖산을 제거해주는 역할을 해
노화예방에도 탁월합니다.
또한 식초의 초산 성분이 소화의 흡수를 도와준다고 합니다.
식초의 효능에는 면역력 향상이 있는데
식초는 발효식품으로 장내에서 유산균 증식에 도움을 주죠.
장 환경을 개선해주고 면역력 향상에 도움을 주게 됩니다.
그리고 식초는 노폐물 배출을 도와주고 해독작용하는 기능의
효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식초는 체내 칼슘흡수를 도와 골다공증에도 유용하며
지방의 분해를 돕고 염분의 섭취를 억제하는 기능과 이뇨작용을 도와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여 당뇨와 고혈압등에도 효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처럼 식초의 효능을 찾아 식초를 섭취하고 요리에 사용하고
계신분들이라면 주의할점이 있습니다.
일반 시중에 파는 양조식초 양조식초는 다시 주정식초와 천연발효식초로
나뉘어 집니다.
주정식초는 조미료나 살균기능은 있으나 영양소는 거의 없다고 합니다.
식초성분 뒷면에 주정, 발효술덧 이 쓰여있지 않은것이 천연 발효식초라고하네요.
천연발효식초가 발효과정에서 생긴
미네랄 비타민 영양소 유산균등이 풍부하다고하니 참고하시는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식초의 활용법 요리에 대해 알아보았다면
이제 청소타임으로 넘어올께요. 식초는 청소에도 자주 쓰이는 활용법을 가지고있습니다.
식초는 살균작용이 있어 세정제 대신으로 쓰일수 있습니다.
유리창을 닦거나, 바닥 청소시에 물과 식초를 희석해서 세정제 대신으로 사용하면
화학세정제를 사용하지 않고 천연 세정제로 청소가 가능하다는 사실!
그리고 이 식초의 활용법은 많이들 아실텐데요.
바로 과일세척입니다.
과일이나 브로콜리 등 과일과 야채를 세척할때 사용하면
과일과 채소 표면에 남아있는 농약 등 세균이나 잔여물 제거에
탁월하다고합니다.
다음 식초의 일상생활에서 활용법은 어제도 포스팅했던
빨래와 관련있습니다. 바로 세탁입니다.
어제 빨래 쉰냄새 제거에도 등장했듯이 바로 빨래할때
섬유유연제 대신 식초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식초에는 유연제와 비슷한 효과가 있다는 사실.
헹굼단계에서 식초를 넣어주면 세제의 알칼리 농도를
식초가 중화해 옷이 부드러워지고 얼룩제거에도 효과를
볼수 있습니다.
그리고, 물비린내가 나는 컵이나 그릇에
식초와 물을 희석시켜 1시간 정도 담궈두면 비린내가 사라진다는 사실.
물비린내 제거에도 효과가 있습니다.
식초의 활용법 마지막은 바로 꽃과 관련이 있습니다.
꽃을 사오면 빨리 시들어 버리는게 아쉽죠.
바로 그때 식초를 이용하면 오래 보관가능한데요.
꽃병에 꽃을 꽂아둘때 물에 설탕과 식초를 섞어주면
꽃이 빨리 시들지 않는다고 하니 참고하시면 좋을듯해요.
오늘은 팔방미인인 식초에 대해 알아보았어요.
늘 가깝게 있지만 이 식초의효능은 무엇인지
이식초는 활용법은 요리만 있는지 아닌지에대해
무관심했던것 같아요. 이렇게 뜯어보면 효능도 참많고
일상생활에서 천연으로 사용할수 있는 것들이 참 많은데요.
역시 아는것은 힘이다가 맞는것 같습니다.
'[정보] > 살림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탄산소다 활용법이 이렇게나 많아요 (1) | 2022.11.08 |
---|---|
살림초보에게 알려주는 식재료 보관법 (0) | 2022.10.27 |
빨래 쉰냄새 해결방법은 바로 내 옆에 있었어요. (0) | 2022.10.21 |
스텐냄비 얼룩제거 방법, 간단하게 얼룩제거하기 (0) | 2022.10.09 |
새프라이팬 처음사용 세척법,길들이기 알아보기 (0) | 2022.02.11 |